본문 바로가기

커리어 들여다보기28

이직 결정 48 : 51 머뭇거리는 그 순간 이직해야할까? 말아야할까? 지금, 머뭇거리고 있나요? 이직 상황이나 조건이 70 : 30 이나 80:20이라면이직 결심은 쉬워지죠. 하지만, 많은 경우49 : 51 인 상황이에요. 처우는 낮아지지만 해볼 수 있는 것이 더 많을 것 같아요. 작은 조직인데 적응할 수 있을까요?달라지는 환경이 엄청 빡셀 것 같은데,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겠죠? 이런 질문들이 나올 때마음은 49 : 51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어떻게 결정해야할까요? 혼자서 이런저런 시뮬레이션을 해보고친구와 선배의 조언을 들어보지만결정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을 같이 겪는 헤드헌터로서저 역시 의견을 낼 때는 조심스러우니까요. 마음이 49 와 51 사이를 오갈 때이 숫자가 의미하는 바는'거의 다 정했지만, 아직 불안하다'를 의미.. 2025. 5. 9.
동료의 냄새, 말해도 될까? 직장인 고민 '냄새나는 동료' 대처법과 눈치채기 직장 생활은 일도 어렵지만인간 관계가 정말 중요하고 어렵습니다.  수백만 가지 어려움 중에'냄새나는 동료'라는 이야기를 접하곤해요.  입냄새, 땀냄새, 담배냄새, 머리 냄새, 쉰내, 아저씨냄새, 발냄새, 화장품냄새 등등...나는 모르는데, 남은 괴로워하는 냄새들이 많아요. 대부분 냄새는 내가 느끼는 정도보다 남은 훨씬 강하게 느끼니까요.  옆자리 동료가 아래 같은 행동이나 이야기를 자꾸 한다면'혹시 나 냄새나는건가?' 스스로를 돌아보며, 조금씩 바꿔보세요.  어느 순간, 옆자리 동료가 더 친절해지고 협업도 더욱 잘해줄 수 있어요.  좋은 향기만큼 좋은 관계도 오래 남습니다 :)   내가 좀 눈치없는 스타일이라면, 정독 필요! 돌려서 이야기하기 (자기 이야기처럼 하는 스타일) 이제 겨울 옷 다 빨아야겠네~.. 2025. 4. 10.
[ 합격 면접 노하우] 면접관을 사로잡는 자기 소개, 시작부터 이기는 면접은 이렇게! 커리어 코칭과 헤드헌팅을 하면서 성공적인 면접을 보고 오신 분들께 모아온 '합격 면접 성공 노하우'를 풀어봅니다.  잘생김과 함께  준비했어요. 나의 경력을 대입해보면서 면접 준비 잘 하세요  화/이/팅 면접 초반의 한 문장, 무엇을 어떻게 말해야 좋을까요?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잘못 시작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포인트”도 넣어뒀어요  직무 성과 중심으로 말하기“쿠팡에서 3개월 만에 매출 200%를 달성했습니다.”“스타트업 B2B 계약을 성사시켜 5억 매출을 15억으로 끌어올렸습니다.”“SNS 바이럴 캠페인으로 고객 참여율을 3배 증가시켰습니다.”굿 포인트!숫자가 주는 임팩트: “200%”, “3배 성장”, “매출 15억” 등 구체적인 수치는 면접관이 직관적으로 성과를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이야.. 2025. 1. 31.
번아웃, 공황장애, 권고 사직..인생은 새옹지마, 기회와 맞바꾸는 불행 커리어 코치와 헤드헌팅을 하면서,이직을 준비하고, 커리어에 고민있는 분들을 만나면서새옹지마에 대해서 자주 생각합니다.  전, 새옹지마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는 않지만누구나 새옹지마를 경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권고사직, 희망퇴직, 번아웃, 공항장애 등으로 힘드신 분들이 많아서 스토리로 구성해봤어요.   재밌게 읽고 힘내주세요, 감바레!   권고사직이 인생의 반전이 되기까지 "지금 당신이 겪고 있는 이 절망이, 인생에서 가장 큰 기회가 될지도 모릅니다."인생은 때로 새옹지마와 같습니다. 화(禍)라고 생각했던 일이 복(福)으로, 절망으로 보였던 순간이 도약의 발판으로 바뀌는 순간이 찾아오죠. 이번 글에서는 ‘새옹지마’의 지혜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은 한 .. 2025. 1. 23.
이직 그리고 첫 출근, 불안 대신 자신감을 채우는 방법 이직 후 새로운 직장에서 첫 몇 달은 향후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3-5년 차 경력을 가진 직장인들은 이미 실무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새 직장에서 빠르게 적응하고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을 느껴요. (실제로 '나 이제 일 좀 잘해'라는 마음도 듬뿍 있기도 하고요) 하지만 무리한 적응은 오히려 실패를 초래하고 이직 후 온보딩을 어렵게 할 수 있어요. 최근 만난 30대 초반의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새로운 직장에 들어갔을 때 처음부터 모든 열정을 불태우기보다는 천천히 분위기에 익숙해지고 차분히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30이 넘어서야, 두세번 이직을 하면서야 알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너무 과감하게 행동하다가 상사에게 지적받은 경우도 많았고, 이러한 실수로 온보딩에 실패한 .. 2024. 10. 19.
보드게임과 커리어의 공통점, 성장하는 커리어를 위한 5단계 (추천 : 재미있는 보드게임 포함) 최근 들어 보드게임을 자주, 오래 하고 있습니다. 남의 이력서를 들여다보며 커리어를 고민하는 '남의 머리 잘 깎는 헤드헌터'에서'보드게임 자주 하는 헤드헌터'로..남편이 워낙 보드게임을 좋아해서강제 멤버로 소환되어 참여한 지는 몇 년 되었는데, 드디어 보드게임 기초체력 임계치가 채워진 건지 마인드가 좀 바뀐 게 느껴져요. ✅️ 얼마나 변했나 하면, 남편이랑 둘이서도 게임 플레이를 합니다.같이 할래?라는 말에 그래!라고 빨리 대답합니다. (전에는 '그으으으으래'라고 대답했던 것 같고요)오래 걸리는 종류들도 '이건 이래서 재밌는 거군'이라고 알아채곤 합니다.      ✅️ 왜 이렇게 변신/진화할 수 있었을까요? 남편의 꾸준한 보드게임 플레이 활동을 보면서 '뭐가 그리 재미있을까?' 생각해 왔어요. (호기심).. 2024. 7. 11.